제 블로그의 컨텐츠는 저작권법에 따라 영리적 목적으로 사용이 불가하며, 변형 및 2차 저작 역시 불가능합니다.
저작권 위반사례가 확인되면 증거확보하고 있으니 혹시나 나는 걸리지 않을까? 하고 쉬이 여기지 마세요.
제 글은 공부용으로만 보고 복제, 변형, 재배포, 2차 저작 등을 하지 마세요.
손익비가 좋고 변곡을 잡아내기 좋은 RSI 다이버전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대강도지수(RSI)는 현재의 시장 상황이 과매수된 상태인지 과매도된 상태인지, 또는 그 중간에 있는지를 파악하려고 개발된 기술적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지금 추세가 '너무 강하거나 약한지'를 판단하려는 지표입니다.
주가의 상승 속도와 현재 시장의 분위기를 객관적으로 나타내 주는 지표 중에서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RSI 수치가 30이하면 과매도, 70 이상은 과매수를 뜻하며, 과매도권에 진입하면 매도세가 강하여 10 정도까지는 매도 강세를 유지합니다. 반대로 과매수권에 진입하면 매수세가 강하여 90 정도까지는 매수 강세를 유지합니다.
개인적으로 RSI 다이버전스는 매매에 활용하기 매우 좋다고 생각합니다.
RSI 다이버전스는 아래 3가지가 있습니다.
1. 일반 다이버전스는 추세의 반전(going ahead trend)를 나타냅니다.
2. 히든 다이버전스는 추세의 지속(going with trend)를 나타냅니다.
3. 과장된 다이버전스는 추세의 반전(going where it shows)을 나타냅니다.
3번 과장된 다이버전스는 거의 나오지 않으나 참고해주시길 바라며, 1번과 2번에 대하여 실제 차트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일반 다이버전스(Regular Divergence) / 추세의 반전
위 사진은 일반 상승다이버전스가 나온 후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격 하락 시 RSI가 과매도권(30)에 진입한 후 상승, 이후 저점보다 가격이 하락하지만 RSI저점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거래량 또한 줄어든다면 다이버전스의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매매를 하면서 확인한 바로는 다이버전스를 만들 때 두 점이 가까운 것보다는 위 사진처럼 어느 정도(RSI 50)의 반등 후 다시 떨어지면서 두 점간 이격을 만들면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위 사진은 일반 하락다이버전스가 나온 후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노란 동그라미 영역)
위 사진 또한 가격의 고점은 높아지고, RSI의 고점은 낮아지며 거래량이 감소하였습니다.
사진 좌측의 일반 상승 다이버전스 예시를 같이 보여줌으로 일반 다이버전스로 인한 추세 변화 후 가격 움직임에 대해 한눈에 알아보실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2. 히든 다이버전스(Hidden Divergence) / 추세의 지속
가격의 저점은 높아졌지만, RSI는 가격저점은 하락하는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가 생성되었습니다. 이는 이때까지는 이전의 추세인 상승에 대한 추세가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며, 단기 하락 추세에 대한 반전은 일어나지만 이전 대 추세에 대한 추세 지속을 의미합니다. 그렇기에 히든 다이버전스와 일반 다이버전스가 같이 나온다면 히든 다이버전스의 힘이 더 강합니다. 추세에 대한 조정의 반전이 히든 다이버전스이기 때문입니다.
해당 히든 하락다이버전스는 위에 설명된 히든 상승 다이버전스 후 나왔으며, 이때부터는 하락에 대한 조정(상승)에 대해 추세반전을 하여 하락(추세 지속)하였습니다. 히든 다이버전스는 대체로 더 낮은 타임프레임의 일반 다이버전스를 동반해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히든 다이버전스는 더 큰 추세의 조정을 다시 큰 추세로 돌려 놓는 것이며(going with trend), 일반 다이버전스는 추세에 대한 반전(조정, 추세반전; going ahead trend)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일반 다이버전스가 출현하는 비중이 높으며, 대부분의 다이버전스 매매는 히든보다는 일반 다이버전스 매매입니다.
일반 다이버전스의 경우, 한 번이 아닌 2중으로 나오기도 하며, 2중 3중 다이버전스는 엘리엇 웨이브의 리딩 다이아고날, 엔딩 다이아고날과 하모닉 패턴의 3-drive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추세의 반전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위의 그림처럼 1분봉의 다이버전스는, 5분 봉의 외바닥과 쌍바닥에 각각 포함됩니다.
5분 봉의 다이버전스는, 30분의 외바닥과 쌍바닥에 각각 포함됩니다.
30분 봉의 다이버전스 추세가 전환되려면 5분 봉의 다이버전스가 두 번 필요하고, 1분 봉의 다이버전스가 네 번은 필요한 게 일반적이라는 얘기입니다.(이는 이동평균선의 저점을 높이는 쌍바닥, 고점을 낮추는 쌍봉에도 타임프레임별 연관관계는 동일하게 적용되며 추후 '고 변호사 주식강의'에 나온 파동론에 대해 올리게 된다면 따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설명을 위해 이렇게 얘기했지만, 이는 1분/3분/5분/15분/30분/1시간/4시간/1일봉 등 유기적으로 작용하며, 그렇기에 타임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확인하게 된다면 단타를 위한 작은 변곡에서 스윙을 위한 큰 변곡까지 잡아낼 수 있습니다.
간혹 스윙매매를 위해 바닥이나 고점을 잡으시는 분들이 있을텐데, 그런 분들은 대체로
1일 봉이나 4시간 봉의 다이버전스를 확인하고, 이 곳에서 15분/30분/1시간 다이버전스를 확인, 여기까지 확인되었다면 5분/3분/1분의 다이버전스가 나오는 것을 보고 진입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설명이 다소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여러 번 읽어서 본인이 매매에 직접 활용한다면 좋은 성과가 있을 것입니다.
다이버전스 매매는 기본적으로 역추세 매매입니다. 역추세매매는 손절을 동반하여 매매해야 하지만,
상대적으로 추세의 변곡점과 가까운 곳에서 진입할 수 있기에 손절이 짧아집니다. 이는 곧 손익비가 크다는 얘기지요.
개인적으로 매매했을 때 70~80%이상의 승률이 나온다고 보고 있습니다.
다이버전스 매매의 경우 RSI가 무너질 경우 손절하는 게 가장 좋아 보입니다. 일반 상승 다이버전스의 경우 RSI 저점을 높이는 것처럼 보여 진입하였는데 RSI가 저점을 낮췄다면 손절/ 일반 하락 다이버전스의 경우 RSI 고점을 낮추는 것처럼 보여 진입하였는데 RSI가 고점을 높이면 손절합니다.
다이버전스 두 점간에 방해하는 캔들이나 지표가 있으면 안 됩니다. 두 점은 방해 없이 이어져야 하며, 봉이 마감되어 가격이나 RSI가 반전을 시작할 때 진입하는 게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가장 이상적인 매매는, 다이버전스로 추세가 반전되고 캔들이나 5 이동평균선이 저점을 높이는 쌍바닥이나 고점을 낮추는 쌍봉이 나온 후 진입하는 것입니다.
다이버전스의 실전 차트를 여러 개 올릴 테니, 눈에 익히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추세매매가 제일 좋은 매매입니다. 하지만 다이버전스를 적극 활용할 수 있다면 굳이 다이버전스로 매매하지 않더라도 추세매매에서 가지고 있는 포지션을 청산할 때 사용하는데도 좋은 방법이기에 알아두시면 도움이 될 겁니다.
내용이 중구난방이며 생각나는 대로 쓰고, 그렸지만 내용을 여러 번 반복해서 보신다면 꼭 도움이 될 거예요.
※ 투자에 대한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며, 해당 게시글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세요. ※
이동평균선, RSI, 스토캐스틱 매매
2020/11/09 - [트레이딩 이야기/2) 투자 관련 서적 리뷰] - 스토캐스틱 이평선 다이버전스 활용한 4분할 차트매매법
스토캐스틱 이평선 다이버전스 활용한 4분할 차트매매법
위의 책은 RSI다이버전스, 이동평균선, 스토캐스틱과 이와 연관된 매매노하우가 적힌 전자책입니다. 초보에서 중수, 고수에 이르기까지 알아두면 도움이 될만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누구
tailong.tistory.com
하모닉 패턴 매매
2020/10/21 - [트레이딩 이야기/2) 투자 관련 서적 리뷰] - ★하모닉 패턴 7가지 실전 매매 방법 <전자책>★
★하모닉 패턴 7가지 실전 매매 방법 <전자책>★
안녕하세요. 기술적분석에 대해 공부하고, 공부방법을 공유하기 위해 트레이딩뷰와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타이롱입니다. 투자와 더불어 경제적 자유를 이룰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만들기 위
tailong.tistory.com
하모닉 패턴(Harmonic Pattern) 중 크랩 패턴(Crab Pattern)에 대해 알아보자 (8) | 2019.11.10 |
---|---|
하모닉 패턴(Harmonic Pattern) 중 가틀리 패턴(Gartely Pattern)에 대해 알아보자 (16) | 2019.11.04 |
하모닉 패턴 중 박쥐 패턴(Bat Pattern)에 대해 알아보자 (19) | 2019.11.03 |
하모닉 패턴 중 The AB=CD 패턴에 대해 알아보자! (22) | 2019.10.16 |
하모닉 패턴(Harmonic pattern)이란? (8) | 2019.10.16 |
RSI를 활용한 다이버전스 매매는 어떻게 할까? (63) | 2019.10.15 |
안녕하세요. 거래량의 경우 추세가 진행되는데(상승 중 고점을 높이거나, 하락 중 저점을 낮추는), 거래량이 줄어든다면 다이버전스(시장괴리)가 발생합니다.
엘리엇웨이브 관점에서 3파에서 시세가 분출되며 거래량이 터지고, 이후 5파동에서 신고점이 갱신되면서 거래량이 줄어들고, 이후 급락을 하며 하락반전하는 원리와 같습니다.
추세가 진행되면서 거래량이 증가된다면 그것이 상승이건 하락이건 해당 추세가 더 진행된다고 보세요. RSI 다이버전스를 보실 때도 고점이나 저점을 갱신하고 RSI도 다이버전스로 확인되나 거래량이 이전보다 보다 증가하였다면 다이버전스가 무효화될 수 있다고 생각하고 매매에 임해야합니다.
글 너무 잘 봤습니다.
다이버전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글들을 봤는데
작성해주신 글이 제일 좋았습니다.
현재 저는 다이버전스의 발생원리를 이해하지 못한채로 형태만 외우고, 기계처럼 사용하고 있는데
혹 가능하시다면 다이버전스가 발생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si와 macd는 지표가 생성되는 기준이 아예 다른데도 대개 비슷한 타이밍에 같은 신호를 보내는게 신기했습니다.)
또 추세선 처럼 그은 다이버전스 연결선 중간에 침범하는 지표나
캔들이 없다면 오랜 시간이 흘렀어도 적용된다고 봐도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다이버전스란 한글말로 괴리현상이라고 합니다.
가격과 각 지표( rsi, cci, macd, 스토캐스틱 등)의 고점과 저점의 괴리가 생겨나는 것이지요.
일반 하락다이버전스를 예로 들면,
가격의 고점은 높아졌으나, 모멘텀 지표에서의 고점은 높아지지 않으며 나옵니다. 이것은 가격이라는 숫자만 오를뿐, 매수세가 가격만큼 따라오지 않고 매도세에 짓눌렸다는 의미로, 향후 매수세가 빠지면서 급격한 하락이 나올 수 있음을 암시해줍니다.
가격이 오르면 지표가 오르고, 가격이 내리면 지표가 내리며 그 상대적인 위치가 유사하게 흘러가야하는데, 그렇지 아니하다면 시장엔 괴리현상이 생겨서 정상적인 흐름과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편합니다.
오랜 시간이 흐르면 다이버전스의 신뢰도가 현저히 떨어집니다. 일반 다이버전스와 히든 다이버전스가 나오는 위치와 간격 등이 어느정도 일정해서, 이것을 알면 적용이 쉬울 것입니다.
과매도 과매수가 아닌 70, 30구간 안쪽에서 생긴 다이버전스는 신뢰를 안갖는게 좋은가요?
-> 보다 낮은 타임프레임에서 과열권에 진입하고 나온 다이버전스일 수 있으나, 저는 과열권 진입하지 않으면 적용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거래량의 경우 더 높은 거래량이 터졌지만 캔들이 도지처럼 작게 나와서 버티는 형태로 거래량이 터졌다면 이것도 하락 전환 가능성으로 봐도 유효할까요?
->반전하는 근거들과 함께 도지가 나왔으면 반전형 캔들이나, 진행중인 근거들과 함께 나왔다면 추세의 진행 중 잠시 멈춰있는 구간입니다. 진전 추세가 어떻게 진행되고, 도지캔들이 나왔을 때 추세의 반전이냐 추세의 지속이냐의 근거수집에 따라 진행이 달라집니다.
설명만 해놓은 rsi 다이버전스 매매법에 비해 이 글은 개인적인 철학이 담겨있으셔서 재밌게 읽었습니다.
말씀해주신 점에 이해가 잘 안가는 부분이 하나 있는데 다이버전스가 깨졌다는게 어떤 의미인가요?
예를 들어 일반 상승 다이버전스가 이미 나온 상황이라고 가정했을때,
올라갈 것 같아서 롱에 배팅했으나 주가가 살짝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오면서 다이버전스의 "왼쪽" 저점보다 rsi수치가 낮아지는 순간 다이버전스가 깨진건가요? (1번)
아니면 살짝 올라갔다가 다시 신저가를 갱신하면서 다이버전스의 "오른쪽" 저점이랑 다이버전스를 형성하지 않고 주가와 rsi 가 정배열일때 다이버전스가 깨진건가요? (2번)
(2번은 왼쪽 저점보다는 rsi가 높은 경우입니다.)
말씀하시는게 느낌상 1번인것 같긴한데 2번의 경우도 간혹 있는것같아 좀 헷갈립니다.
2번의 경우에 다이버전스의 왼쪽 저점과 신저점 사이의 새로운 다이버전스가 생겨날수도 있을것 같지만
이런 경우 중 캔들 꼬리 연결했을 때, 중간에 캔들이 있는 경우가 많아서 다이버전스를 따질수 있는건지 모르겠네요.
본문과 관련 있는 내용으로 댓글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