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모닉 패턴 중 The AB=CD 패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B=CD 패턴은 A, B, C, D라는 4-Point 가격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패턴은 C point에서 패턴이 완성됩니다.
BC projection이 구조에서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한 AB=CD의 point입니다.
본격적으로 배우기에 앞서 AB=CD Reciprocal(상호간) 비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B=CD의 두 구간이 1:1 비율로 나오게 되는데, 이를 Reciprocal AB=CD라고 합니다. AB=CD 패턴 외에도 앞으로 배울 모든 하모닉 패턴에서 저 수치의 상응 관계에 대해 이해하고 암기하고 있다면 매매 시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매수 AB=CD (Bullish AB=CD) 패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ullish AB=CD는 C point가 0.382/0.5/0.618/0.707/0.786/0.886가 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Reciprocal 수치로 BC는 1.13/1.272/1.414/1.618/2/0.24or 2.618의 수치가 올 수 있습니다.
AB=CD의 가장 이상적인 패턴은 C point에서 피보나치 되돌림이 0.618이 나오며, BC구간을 피보나치 되돌림으로 측정했을 시 BC projection이 1.618이 나오는 것입니다. 또한 AB와 CD의 시간 경과가 동일한 것입니다.
AB=CD패턴을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아래 그림과 같이 C지점을 찾아야 합니다.
위의 그림은 AB=CD의 C point 되돌림 수치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피보나치 되돌림(Fibonacci retracement) 도구를 활용하여 1번(A)에서 2번(B)의 꼭짓점을 찍으면 C지점이 나오며, 0.618이 AB=CD의 C point 가장 이상적인 수치입니다.
이렇게 C point의 되돌림이 나왔다면, 패턴의 완성이 되는 D지점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배운 Reciprocal AB=CD의 비율 수치대로 가져와서, 0.618C=1.618BC라는 수치 값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피보나치 되돌림 도구로 1번(B)을 찍은 후 2번(C)를 찍으면 1.618자리가 나옵니다.
차트의 흐름이 C지점까지 왔다면, 이렇게 D지점을 미리 예측해서 그려 넣을 수 있습니다.
D값은 PRZ의 1번 구성 요소이며, 2번 구성요소인 AB=CD 피보나치 확장으로 재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두 번째 PRZ AB=CD 찾기
두 번째 PRZ는, 피보나치 확장(Fibonacci extention)을 활용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1번(A), 2번(B), 3번(C) 순서로 3점을 찍으면 D지점 부근에 분홍색의 1이라는 것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 1이 RPZ의 두번째 구성 요소이며, AB=CD는 1 AB=CD/1.272 AB=CD/1.618 AB=CD로 나옵니다.
이 AB=CD 패턴은 추후 다른 하모닉 패턴에서도 PRZ를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가 됩니다.
RPZ를 찾았다면 아래와 같이 PRZ를 표시하면 됩니다.
위 그림과 같이 AB=CD의 PRZ 두 개 구성요소가 모두 완성되어 차트에 표시하였습니다.
C의 되돌림이 0.618, BC가 1.618이 가장 이상적인 수치인 것은, 피보나치 확장으로 AB=CD를 측정 시에도 동일한 수치가 나와서 신뢰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C의 되돌림의 0.618보다 적거나 많으면 BC의 수치 또한 변경되며, 이러면 AB=CD 익스텐션 값 측정 시 두 PRZ 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0.618 C point는 0.618AB라고 표시합니다.
실전 차트에서 AB=CD패턴 모양과 RPZ 형성에 대해 보여드리겠습니다.
해당 그림은 C point 0.618 AB 되돌림에 D point 1.618 BC projection이 나왔으며, 1AB=CD로 PRZ가 구성되었습니다.
해당 그림은 C point 0.786 AB 되돌림에 D point 1.272 BC projection이 나왔으며, 1AB=CD로 PRZ가 구성되었습니다.
해당 그림은 C point 0.5 AB 되돌림에 D point 2 BC projection이 나왔으며, 1AB=CD로 PRZ가 구성되었습니다.
해당 그림은 C point 0.618 AB 되돌림에 D point 1.618 BC projection이 나왔으며, 1AB=CD로 PRZ가 구성되었습니다.
매도 AB=CD (Bearish AB=CD) 패턴 또한 매수(Bullish)와 동일하며 상하반전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익절가 TP(Target Profit) 찾는 방법
TP는 PRZ테스트 후 저점을 기준으로 잡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1번(A)에서 2번(D)를 피보나치 되돌림으로 측정하게 되면 피보나치수열 수치가 쭈욱 나옵니다.
여기에서 0.382가 1차 TP이며, 0.618이 2차 TP입니다.
모든 하모닉 패턴은 0.382가 1차 TP/0.618이 2차 TP입니다.
또한 1차 TP에서 50%의 물량을 익절 하고, 트레일링 스탑으로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일반적인 전략입니다.
매수(Bullish)와 매도(Bearish) 패턴 모두 TP선정이 동일합니다.
손절가(Stop Loss) 정하는 방법
손절가는 PRZ를 충분히 테스트하고 반등했다고 본다면, 최저점보다 약간 더 아래로 걸면 됩니다. PRZ테스트 후 진입 시 반드시 반등하는 것을 확인해야 하며, PRZ가 뚫리면 추세의 반전이 아니라 추세의 지속이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매수(Bullish)와 매도(Bearish) 패턴 모두 손절가(Stop Loss) 설정이 동일합니다.
이렇게 AB=CD 패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AB=CD패턴은 C point에서 이미 D point의 PRZ를 예측해서 그려 넣을 수 있으며, 실제로 가격이 RPZ부근에 도달하였을 시 반전하는 모습을 확인 후 진입하기에 상대적으로 미리 가격의 움직임을 알 수 있으며, 확인 후 매매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패턴이 완성되면 TP값이 명확히 나오기 때문에 어디서 팔아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줄여줍니다.
AB=CD패턴에 BAMM(Bat Action Magnet Move) 기법과 채널링과 연관된 기법이 Volume.two에 소개되어있으니 Volume.one의 나비 패턴(Butterfly Pattern)까지 게시글 작성이 완료되면 추후 게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AB=CD패턴에 익숙해지시면 추후 업로드한 방법과 같이 사용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겁니다.
추가로..
AB=CD패턴은 엘리엇 웨이브의 ABC Corrective Wave와 거의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엘리엇 웨이브의 ABC에서도 1:1, 1.272:1, 1.618:1을 사용합니다. 이는 C파동이 5 파동으로 구성되어 A파보다 상승 혹은 하락 힘이 더 강하기 때문입니다. 엘리엇 웨이브에 관해서는 추후 게시하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개인적인 매매팁으로는 PRZ구간에 RSI의 다이버전스가 생긴다면 RPZ 테스트가 성공적일 확률이 높았습니다. 이점 참고 바랍니다.
The AB=CD와 관련된 N파동에 관한 아래 글도 참고해서 보시면 좋을 거에요.
2025.06.21 - [트레이딩 이야기/1) 기술적 분석 방법(차트공부)] - 기술적분석의 핵심인 N파동에 대하여 (엘리어트 파동이론, 하모닉패턴, 일목균형표 등)
기술적분석의 핵심인 N파동에 대하여 (엘리어트 파동이론, 하모닉패턴, 일목균형표 등)
안녕하세요. 이번에 작성할 게시글은 N파동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술적분석을 사용함에 있어 파동이란 것은 매우 유용한 분석도구입니다. 기술적분석에서의 파동이란 단순히 강약과 같이 힘의
tailong.tistory.com
https://smartstore.naver.com/eroomshopping/products/9118465168
하모닉 패턴, 트레이딩 업그레이드 : 타이롱
[타이롱] 타이롱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4분할 매매 노하우
https://smartstore.naver.com/eroomshopping/products/6033244234
초보자를 위한 기술적분석 4분할 매매 : 타이롱
기술적분석 초보자에서 중급자, 고급자까지 공부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smartstore.naver.com
엘리어트 파동이론 노하우
https://smartstore.naver.com/eroomshopping/products/9118473673
타이롱의 엘리어트 파동이론, 차트 이정표 : 타이롱
[타이롱] 타이롱의 스토어입니다.
smartstore.naver.com
하모닉 패턴(Harmonic Pattern) 중 크랩 패턴(Crab Pattern)에 대해 알아보자 (13) | 2019.11.10 |
---|---|
하모닉 패턴(Harmonic Pattern) 중 가틀리 패턴(Gartely Pattern)에 대해 알아보자 (17) | 2019.11.04 |
하모닉 패턴 중 박쥐 패턴(Bat Pattern)에 대해 알아보자 (21) | 2019.11.03 |
하모닉 패턴(Harmonic pattern)이란? (10) | 2019.10.16 |
RSI를 활용한 다이버전스 매매는 어떻게 할까? (83) | 2019.10.15 |